언어 공부/코틀린 공부
-
(Kotlin / 코틀린) Open (상속)언어 공부/코틀린 공부 2023. 2. 2. 19:52
안녕하세요~ 코딩하는 코알못 코메인입니다. 코틀린에서 사용하는 Open을 보자. Open이란 코틀린에서 상속을 받기위해 사용하는 키워드이다. 코틀린은 다른 언어들과 달리 모든 클래스가 자동으로 최종값으로 된다. 그렇기에 그냥 상속 받을 수가 없다. 예를 들어 자바에서는 모든 클래스가 상속이 가능하다. 그래서 최종이라고 명시를 해줘야한다. 코틀린은 그와 반대로 자동으로 최종이고, 상속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Open키워드를 사용해 상속을 해줘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type is final, so cannot be ingerited from'라는 오류를 보게 될 것이다. 추가로 코틀린에서 상속하는 방식은 타입 선언처럼 :를 사용해 하게 되는데 구현을 통해 보자. 구현 class parent{} class ch..
-
(Kotlin / 코틀린) Array (배열)언어 공부/코틀린 공부 2023. 1. 30. 20:36
안녕하세요~ 코딩하는 코알못 코메인입니다. 코틀린에서 사용하는 배열을 보겠다.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변수들로 집합을 이룬 것을 말한다. 여기서 코틀린의 Any 타입으로 같은 타입이 아닌 변수들로도 배열을 짤 수 있는데 차차 확인해 보겠다.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값을 배열 요소(element)라고 하며, 배열에서의 위치를 가리키는 숫자는 인덱스(index)라고 한다. 인덱스 번호는 무조건 0부터 시작하며, 0이상의 정수들로만 이루어져있다. 요소에는 모든타입이 들어갈 수 있으며, Int는 정수, Double은 소수, String은 문자열, Boolean은 참 거짓 (true, false) 등으로 대입한다. 코틀린에서의 배열 선언을 보자. 구현 val numbers:IntArray = intArrayOf(1..
-
(Kotlin / 코틀린) print / println (출력)언어 공부/코틀린 공부 2023. 1. 29. 21:56
안녕하세요~ 코딩하는 코알못 코메인입니다. 코틀린에서 출력은 print와 println이 있다. print와 println의 차이점 print : 한 라인에 모두 출력 println : 각 출력물을 각 라인에 출력 변수 출력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그냥 변수 자체를 입력하는 방법과 $변수명으로 입력하는 방식이다. 위 내용들은 구현을 통해 확인해보자. 구현 print fun main(){ print("코딩하는 코알못") print("코메인") } print로만 출력시에 결과는 해당 사진처럼 코알못 뒤에 코메인이 바로 붙어서 출력된다. println fun main(){ println("코딩하는 코알못") println("코메인") } println으로 출력시에 결과는 이렇게 라인이 나눠져서 출력된다. 만..